설명‘낙서 금지’라고 적혀 있는 곳에 낙서가 많이 되어 있고, 문을 ‘당기시오’라고 써 놨는데도, 사람들은 문을 민다. ‘절대 보면 안 된다’고 하면 보고 싶고, ‘품절’이라고하면 더 사고 싶어진다. 이렇게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되는 청개구리 심보를 “심리적 반발심(Psychological Reactance)” 라고 한다. 심리적 반발심이란 자신의 자유가 제한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설득의 목적이나 방법이 이해되지 않을 때 생겨나는 심리를 말한다. 그래서 상대방이 하라는 것과 일부러 다른 것을 선택해 자신의 자유를 보장받으려고 하는 것이다.실험내용심리적 반발심과 관련된 실험이 하나 있다. 어느 지하철역 화장실에 ‘낙서하면 안된다’는 안내판을 걸어 보기로 했다. 이때 아래와 같은 조건..
설명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법(foot-in-the-door-technique)은 상대방의 허락을 얻을 수 있는 설득 기술이다. 우선 상대방이 거절하지 않을 작은 요구를 한다. 상대가 요구를 들어주면, 다음에는 더 큰 부탁을 해서 이번에도 상대방이 허락하게 만든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요구하는바를 점차적으로 키워나가는 설득방식이다.심리학에서는 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법과 반대되는 면전에서 문 닫기(Door in the face technique) 기법이 있다. 면전에 문 닫기 기법은 처음에 큰 요구를 먼저하고 거절당하면, 다음으로 작은 부탁을 해서 상대방이 허락하게 만드는 것이다. 상대방이 나의 요구를 거절할 때 부탁한 사람 앞에서 문을 쾅 닫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면 문을 닫은 사람은 미안한 마음이..
설명착각적 상관은 두 사건이 아무런 관련이 없더라도, 두 사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착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까마귀가 날아간 것과 배가 떨어지는 것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배가 떨어지는 이유를 까마귀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이 속담처럼 상관이 없는 두 가지에 상관이 있다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착각적 상관이라고 합니다.실험내용착각적 상관으로 인해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심리학자 해밀턴과 기포드가 했던 실험이 있습니다.연구자들은 무작위로 구성된 집단 A와 집단 B가 있다고 참가자들에게 말했습니다. 이 때 집단 A와 B가 각각 30명, 1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집단이 아래처럼 나쁜 ..
상관관계란?상관관계의 정의상관관계 해석상관관계의 한계① 관측치별로 중요도가 같을까?② 상관관계가 높으면 좋을까?상관계수 올바르게 사용하기상관관계란?상관계수는 연속형 변수간 상관성을 확인하기위해 사용되는 통계치 입니다.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두 변수간 관계의 방향성과 강도를 파악할 수 있어 많이 사용합니다. 상관관계의 정의와 일부 단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상관관계의 정의우선, 변수XXX와 YYY의 상관계수(ρ\rhoρ)의 정의는 아래 수식으로 표현됩니다.ρX,Y=Cov(X,Y)σXσY\rho_{X,Y} = \frac{Cov(X,Y)}{\sigma_{X} \sigma_{Y} }ρX,Y=σXσYCov(X,Y)Cov(X,Y)Cov(X,Y)Cov(X,Y)는 공분산을 의미하고σX\sigm..
설명방관자 효과란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목격한 사람이 많을수록 오히려 도움을 주는 사람은 적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내가 도와주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이 도와주겠지’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연구하게 된 계기는 1964년 3월 미국 뉴욕의 한 주택가에서 벌어졌던 살인사건 때문이다. 당시 한 여성이 밤늦게 집으로 귀가하는 중 강도를 만나 살해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에서 강도는 35분동안 그녀를 쫓아다니면서 범행을 저질렀는데, 이 과정에서 38명의 주민들은 모두 숨죽여 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녀가 숨을 거두기 전까지 그 누구도 경찰에 연락을 하지 않았다.왜 시민 중 단 한 사람도 경찰에 연락을 하지 않았을까?실험내용오하이오주립대학의 심리학자 라타네는 실험을 하나 진행했다. 연구자..
설명닻 내림 효과란, 닻을 내린 배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처음 제시된 정보가 기준점이 되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즉 모르는 걸 판단할 때, 무의식적으로 처음 주어진 정보가 기준이 되어 해당 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이를 기준으로 삼는 것을 뜻한다.실험내용닻 내림 효과는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가 에 처음 발표하면서 알려졌다. 실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조건룰렛에는 0부터 100까지의 숫자가 적혀있음실제로 룰렛은 10 아니면 65 두 숫자에만 멈추도록 조작되어 있음위 조건에서 실험이후 참가자들은 2가지 질문을 받았다.“국제 연합에 가입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비율은 방금 나온 숫자보다 클까, 작을까?”“국제 연합에 가입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총 몇 %일까?”처음 이 질문을 들..
허구적 합의 효과란?허구적 합의 효과는 자신의 생각이 보편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행동할거라는 잘못된 믿음을 말한다.실험내용허구적 합의 효과는 스탠퍼드대학의 리 로스와 그의 동료들이 행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진행한 실험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당신은 집 근처의 슈퍼마켓에서 장보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려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다가와 “이 가게에서 쇼핑하는 것을 좋아하세요?”라고 묻는다. 당신은 “네, 좋아해요. 집에서 가깝고 또 품질이 좋은 고기를 낮은 가격에 살 수 있기 때문이에요”라고 답한다. 그러자 질문을 던진 사람이 “실은 제가 비디오 녹화 스태프인데요, 지금 이 상황은 녹화 중이었어요”라고 밝힌다. 그리고 “방금 말씀하신 내용을 텔레비전 광고에 무삭제판으로 삽입하..
for 반복문for문은 지정된 횟수만큼 특정한 코드를 반복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정된 횟수는 숫자를 통해 지정할 수 있으며, 배열(array)이나 객체(object)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해당하는 값이나 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for기본적인 for문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작성되게 됩니다.for (ⓐlet i = 0; ⓑi < 10; ⓒi=i+1) { 실행할 코드 } 첫 번째 괄호에는 for문 수행횟수를 결정하는 값들을 입력합니다.ⓐ 초기치선정: 초기치로 활용되는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설정합니다.※ for문 이전에 선언한 변수를 활용하여서도 가능ⓑ 수행조건: loop문을 지속해서 수행하는 조건을 입력합니다.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수행)ⓒ loop가 끝날 때 변경 되는 값: 코드를 수행하고나서 지정..
Javascript를 활용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새로운 HTML 요소를 작성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HTML에서 Element들을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cpwebassets.codepen.io/assets/embed/ei.js">추가Javascript에서 새로운 Element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3가지 단계가 필요합니다.새로운 Element를 생성document.createElement method를 통해서 신규 Elemen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후 생성된 Element에 속성들을 추가하는 등 일반적인 속성들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let newParagraphElement = document.createElement..
모델의 종류와 상관없이 해석을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1. 필요성Model Interpretability모델의 결과를 자연스럽게 납득 시켜주는 수단으로서 필요모델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 의미를 지님ex) 자율 주행차의 사고원인ex) 특정 인자에 따른 편향 파악Balck Box Model입력값을 통해 출력값을 도출할 수 있지만, Interpretability가 낮은 모델Ensemble, NN기반 모형등은 복잡한 문제에 대해 높은 성은을 보이지만 해석력은 떨어지는 대표적인 블랙박스 모델2. Model-Agnostic Method일반적인 모델을 Black Box 모델로 생각하여, 모델 내부에 접근하지 않고 모델 input과 output을 조절하며 그 변동에 대해 해석하는 방법Permu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