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착각적 상관은 두 사건이 아무런 관련이 없더라도, 두 사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착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까마귀가 날아간 것과 배가 떨어지는 것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배가 떨어지는 이유를 까마귀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이 속담처럼 상관이 없는 두 가지에 상관이 있다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착각적 상관이라고 합니다.
실험내용
착각적 상관으로 인해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심리학자 해밀턴과 기포드가 했던 실험이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무작위로 구성된 집단 A와 집단 B가 있다고 참가자들에게 말했습니다. 이 때 집단 A와 B가 각각 30명, 1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집단이 아래처럼 나쁜 행동을 했다는 사실을 전달하였습니다.
- 집단 A의 구성원들은 20가지의 좋은 행동과 10가지의 나쁜 행동을 했다.
- 집단 B의 구성원들은 10가지의 좋은 행동과 5가지의 나쁜 행동을 했다.
연구자들은 나쁜 행동과 좋은 행동이 적힌 문장을 집단 구분 없이 순서를 섞어서 실험 참가자들에게 읽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두 집단의 성정을 평가하라고 하였습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구성원 수가 적은 B 집단이 A보다 나쁜 행동을 저질렀다고 말했습니다. 두 집단 모두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의 비율이 2대 1로 동일한데도 말이다. 구성원의 숫자가 적다는 것과 나쁜 행동을 하는 것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지만, 이 둘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착각적 상관이 일어난 것이다. 이 실험은 소수 집단에 대한 안 좋은 편견이 쉽게 형성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실생활 예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내가 산 주식만 떨어진다.’ 고 많이들 생각하고는 합니다. 실제로 내가 주식을 사는 것과 주가가 내려가는 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반복되고 경험이 쌓에기 되면 ‘내가 주식을 샀기 때문에 주식이 떨어진다.’ 하면서 착각적 상관을 하게 됩니다.
착각적 상관의 이유?
우리의 뇌가 착각적 상관을 일으키는 이유는 발생한 상황을 통제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마음 때문이다. 상황을 통제하고자 하는 마음은 매우 강렬하다. 우연하게 발생한 사건들이 나의 통제하에 있다고 착각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꾀하려고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류혜인, 『심리학이 이토록 재미있을 줄이야』, 스몰빅인사이트, 2021, 25~28페이지”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어지는 이유, 심리적 반발심 (0) | 2023.12.12 |
---|---|
설득의 기술, 문간에 발 들여놓기 (0) | 2023.12.11 |
방관자 효과 (0) | 2023.12.01 |
닻 내림 효과 (0) | 2023.11.28 |
허구적 합의 효과 (0) | 2023.11.27 |